
정의 – 숨어 있다가 다시 나타나는 바이러스
대상포진(herpes zoster)은 소아기에 걸렸던 수두 바이러스(Varicella Zoster Virus, VZV)가 몸속 신경절에 숨어 있다가, 수십 년 뒤 면역력이 약해질 때 다시 활성화되면서 생기는 질환이다. 발진과 물집이 신경 분포를 따라 나타나고, 그 부위에 찌르는 듯한 통증이 동반된다.
대상포진은 보통 50세 이상에서 흔하지만, 반드시 고령층에만 생기는 것은 아니다. 면역력이 약해진 상태라면 20대, 30대 젊은 층에서도 발병할 수 있다. 실제로 기자는 지인 중 20대 후반부터 면역 저하 때마다 거의 매년 대상포진에 걸려 고생하는 경우를 보았다. “어릴 때 수두 한 번 앓은 게 평생 따라다닌다”는 말이 실감나는 사례다.
원인 – 왜 다시 나타날까?
수두를 앓고 나면 바이러스는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신경절에 숨어 지낸다. 평소에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지만, 면역 체계가 약해지면 다시 활성화된다.
- 고령으로 인한 자연 면역 저하
- 암, 장기이식, HIV 감염 등 면역억제 상태
- 항암제, 면역억제제 복용
- 스트레스, 과로, 수면 부족
이런 상황에서는 젊은 층도 안전하지 않다. 특히 반복 발병하는 경우는 면역 회복이 어렵거나 만성적인 스트레스가 원인일 수 있다.
증상 – 피부 이상과 신경통
대상포진의 증상은 비교적 전형적이다.
- 예고 신호: 발진 전 해당 신경 분포 부위가 간질거리거나 따갑고 통증이 느껴진다.
- 발진과 물집: 붉은 반점 위에 작은 물집이 무리 지어 나타난다. 보통 몸의 한쪽에만 발생한다.
- 통증: 급성 통증은 며칠에서 수주간 지속된다. 특히 얼굴, 눈 주변에 발생하면 시력 손실 같은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
- 경과: 물집은 7~10일간 탁해졌다가 딱지가 지며 회복한다. 그러나 통증은 발진이 사라진 후에도 남을 수 있는데, 이를 대상포진 후 신경통(PHN)이라 한다. 60세 이상 환자의 약 30%에서 발생한다고 보고됐다(Strezova et al., 2022).
진단 – 대부분은 임상 진단
피부 발진이 신경을 따라 한쪽으로 나타나는 모습만으로도 진단이 가능하다. 다만 면역억제 환자나 비전형적 사례에서는 PCR 검사를 통해 바이러스를 확인하기도 한다.
치료 – 조기 항바이러스제가 핵심
대상포진 치료는 가능한 한 빨리 시작해야 한다. 발진이 생긴 후 72시간 이내 항바이러스제(아시클로버, 발라시클로버 등)를 복용하면 발진의 기간과 통증을 줄이고, 후유 신경통 위험도 낮출 수 있다.
- 통증 조절: 일반 진통제(NSAIDs)부터 필요하면 마약성 진통제, 항경련제(가바펜틴), 항우울제(아미트립틸린)까지 사용한다.
- 신경차단술: 약물로 조절되지 않는 심한 통증에 효과적일 수 있다.
- 면역저하자 치료: 면역 억제 환자에서는 증상이 전신으로 퍼질 수 있어 항바이러스제 주사 치료가 필요하다(Bastidas et al., 2019).
예방 – 백신이 가장 확실한 방법
백신 종류
- 생백신(Zostavax): 1회 접종, 예방 효과가 50% 안팎으로 높지 않고, 면역저하자에게는 권장되지 않는다.
- 재조합 백신(Shingrix, RZV): 단백질 서브유닛 백신으로, 2회 접종(0개월, 2~6개월 간격). 예방 효과가 90% 이상이며 10년 이상 유지된다는 연구가 있다(Strezova et al., 2022).
접종 대상과 시기
- 미국 CDC와 유럽 지침에 따르면 50세 이상 성인에게 접종 권고.
- 면역저하자의 경우 18세 이상에서도 접종 가능하다는 연구가 늘고 있다(Marra et al., 2024).
가격과 접종 간격
- 한국 기준 Shingrix 백신은 1회 약 20만 원, 총 2회 접종 필요.
- 현재까지는 1회 접종 시리즈(2회 완료)로 장기간 예방 효과가 지속된다고 보고되며, 추가 접종 필요 여부는 아직 연구 중이다.
한국에서의 접종 방법
- 보건소: 일부 지역 보건소에서는 만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예방접종을 지원하거나, 저렴하게 접종 가능하다. 다만 전국적으로 무료 지원은 아니므로 해당 지역 보건소에 문의해야 한다.
- 병·의원: 대부분의 개인 병원(내과, 가정의학과, 종합병원 감염내과 등)에서 접종 가능하다. 예약은 전화 또는 온라인으로 가능하며, 백신 보관 조건이 까다로워 사전 예약을 권장한다.
- 예방접종도우미 사이트(https://nip.kdca.go.kr): 국가예방접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가까운 의료기관 검색도 가능하다.
경과/합병증
- 대상포진 후 신경통(PHN): 60세 이상 환자의 약 30%, 50세 이상도 약 10%에서 경험한다. 수개월~수년간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 안구 대상포진: 각막염, 홍채염, 시력 손실 위험.
- 뇌수막염·뇌염: 드물지만 면역저하자에서 치명적일 수 있다.
- 반복 발병: 일부 젊은 층에서도 매년처럼 재발할 수 있으며, 면역 기능 점검이 필요하다.
결론 – “한 번 걸리면 끝”이 아니다
대상포진은 흔히 “한 번 앓고 지나가면 끝”이라고 오해하지만, 실제로는 면역력이 약해질 때마다 다시 나타날 수 있는 병이다. 특히 고령층뿐 아니라 젊더라도 스트레스, 수면 부족, 질병으로 면역이 떨어진 경우 재발을 겪을 수 있다.
예방의 핵심은 백신이다. 50세 이상이라면 접종을 적극 고려해야 하고, 면역저하자라면 더 이른 나이에도 필요하다. 가격 부담이 있지만, 매년 재발해 일상에 지장을 주는 고통을 생각하면 충분히 투자할 만하다.
조기 진단과 항바이러스 치료, 그리고 예방 백신. 이것이 대상포진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참고문헌
- Boutry, C., Hastie, A., Diez-Domingo, J., Tinoco, J. C., Yu, C. J., Andrews, C., Beytout, J., Caso, C., Cheng, H. S., Cheong, H. J., Choo, E. J., Curiac, D., Di Paolo, E., Dionne, M., Eckermann, T., Esen, M., Ferguson, M., Ghesquiere, W., Hwang, S. J., Avelino-Silva, T. J., … Zoster-049 Study Group (2022). The Adjuvanted Recombinant Zoster Vaccine Confers Long-Term Protection Against Herpes Zoster: Interim Results of an Extension Study of the Pivotal Phase 3 Clinical Trials ZOE-50 and ZOE-70. Clinical infectious diseases :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74(8), 1459–1467. https://doi.org/10.1093/cid/ciab629
- Zeevaert, R., Thiry, N., Maertens de Noordhout, C., & Roberfroid, D. (2023). Efficacy and safety of the recombinant zoster vaccin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Vaccine: X, 15, 100397. https://doi.org/10.1016/j.jvacx.2023.100397
- Marra, F., Yip, M., Cragg, J. J., & Vadlamudi, N. K. (2024).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recombinant herpes zoster vaccine in immunocompromised populations. PloS one, 19(11), e0313889.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313889
- Bastidas, A., de la Serna, J., El Idrissi, M., Oostvogels, L., Quittet, P., López-Jiménez, J., Vural, F., Pohlreich, D., Zuckerman, T., Issa, N. C., Gaidano, G., Lee, J. J., Abhyankar, S., Solano, C., Perez de Oteyza, J., Satlin, M. J., Schwartz, S., Campins, M., Rocci, A., Vallejo Llamas, C., … ZOE-HSCT Study Group Collaborators (2019). Effect of Recombinant Zoster Vaccine on Incidence of Herpes Zoster After Autologous Stem Cell Transplantation: A Randomized Clinical Trial. JAMA, 322(2), 123–133. https://doi.org/10.1001/jama.2019.9053
'H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만성통증, 근육이 아니라 피의 문제일 수 있다 (0) | 2025.10.02 | 
|---|---|
| 당신의 기분은 점심 메뉴가 정한다? 식이 심리학의 놀라운 비밀 (0) | 2025.10.01 | 
| 수족구 걸렸을까? 부모가 꼭 알아야 할 증상, 관리, 회복법 완벽 가이드 (0) | 2025.09.16 | 
| 항생제가 더 이상 듣지 않는다면: 내성의 경고 (1) | 2025.09.15 | 
| 하루 10분의 숨: 과호흡이 만든 병, 심호흡이 주는 회복의 기적 (0) | 2025.09.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