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 장은 단순한 소화기관이 아니다

밥을 먹으면 소화되고 에너지가 생긴다. 대부분은 장을 단순히 음식을 분해하는 통로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최근 연구는 장이 훨씬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장 속 미생물, 즉 마이크로바이옴이 면역·대사·정신건강까지 좌우한다는 것이다.
전홍준 박사는 『비우고 낮추면 반드시 낫는다』에서 “모든 병은 피와 장의 오염에서 시작된다.”고 언급한다. 장이 맑고 튼튼해야 몸 전체가 건강해진다. 오늘은 장과 미생물이 우리 몸과 마음을 어떻게 지배하는지 살펴보자.
1. 장과 면역 – 몸을 지키는 최전선
인체 면역세포의 약 70% 이상이 장에 집중되어 있다. 특히 ‘장관연관 림프조직(GALT, Gut-Associated Lymphoid Tissue)’은 장벽 바로 아래에 자리 잡고 있으며, 외부에서 들어오는 세균·바이러스·독소를 가장 먼저 감지하고 대응한다.
장내 유익균은 단순한 소화 보조자가 아니다. 이들은 면역세포를 “훈련시키는 교관” 역할을 한다. 장내 미생물이 부족하면 T세포가 제대로 분화하지 못하고 면역 반응이 과도해져 알레르기나 자가면역질환이 나타난다. 반대로 유익균이 풍부하면 T세포가 균형 잡힌 반응을 하도록 유도해 병원균은 막고 정상 세포는 공격하지 않는다.
즉, 장은 단순히 음식을 흡수하는 기관이 아니라 면역의 본부이자 최전선이다. 우리가 먹는 음식이 장내 균형을 바꾸고 결국 면역력의 강약을 결정한다.
2. 장과 뇌 – 내 기분은 내 장이 만든다
“배 아플 때 신경 쓰인다”는 말에는 과학적 근거가 있다. 장과 뇌는 신경과 호르몬을 통해 긴밀히 연결된 ‘장-뇌 축(gut-brain axis)’으로 소통한다.
여기서 중요한 사실 하나. 세로토닌의 약 90%, 도파민의 약 50%가 장에서 생성된다. 보통 우리는 이 호르몬들이 뇌에서 만들어진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장내 미생물이 생산을 돕고 있다.
- 세로토닌: 행복 호르몬이라 불리며, 기분 안정과 수면 조절에 핵심적이다. 장내 미생물이 부족하거나 염증이 있으면 세로토닌 생성이 줄어 우울·불안이 심해질 수 있다.
- 도파민: 동기와 보상에 관여하는 신경전달물질이다. 부족하면 무기력과 집중력 저하가 나타난다. 장내 환경이 나쁘면 도파민 생성도 저하된다.
데이비드 펄머터 박사는 『장 속의 브레인』에서 “우울증은 단순히 뇌의 문제가 아니라 장내 미생물 불균형의 결과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실제 연구에서도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한 집단은 불안 점수가 감소하고 수면 질이 개선되었다는 보고가 있다.
즉, 내 기분은 내 장 속 미생물이 결정한다는 말이 과장이 아니다.
3. 최신 과학 – 마이크로바이옴과 전인적 건강
2019년 Cryan 교수팀은 Physiological Reviews에 발표한 논문에서, 장내 미생물이 면역계·내분비계(호르몬)·신경계를 매개로 뇌와 소통한다는 사실을 정리했다.
- 동물실험: 유산균을 투여한 쥐는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솔)이 낮아지고 불안 행동이 줄어들었다.
- 임상연구: 프로바이오틱스를 섭취한 사람은 기억력과 인지 기능이 개선되었다.
- 대사 건강: 마이크로바이옴은 체중 조절, 혈당 관리에도 관여한다는 증거가 늘고 있다.
과학자들은 “마이크로바이옴을 관리하면 우울증·불안·치매 같은 정신질환뿐 아니라 당뇨·비만 같은 대사질환까지 예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미래의 맞춤의학은 약 대신 내 장내 미생물에 맞춘 식단과 치료가 될지도 모른다.
결론 – 내 장이 건강해야 내가 건강하다
장 속 미생물은 단순한 세균이 아니라, 내 몸의 면역력·정신건강·대사 균형을 지휘하는 파트너다.
- 장내 면역세포가 외부 침입을 막고,
- 세로토닌과 도파민이 기분을 좌우하며,
- 최신 과학이 마이크로바이옴을 치료의 열쇠로 주목한다.
오늘 한 끼의 선택이 내 장내 환경을 바꾼다. 가공식품 대신 발효식품을, 단 음료 대신 물과 차를, 육류 대신 채소와 곡물을 선택하자. 내 장 속 작은 변화가 곧 내 몸과 마음을 바꾸는 출발점이 된다.
참고문헌
- Cryan, J. F., O’Riordan, K. J., Cowan, C. S., et al. (2019). The microbiota–gut–brain axis. Physiological Reviews, 99(4), 1877–2013. https://doi.org/10.1152/physrev.00018.2018
- Perlmutter, D., & Loberg, K. (2015). Brain maker: The power of gut microbes to heal and protect your brain – for life. Little, Brown and Company. (한국어판 『장 속의 브레인』, 2021)
- 전홍준. (2018). 비우고 낮추면 반드시 낫는다. 서울: 정신세계사.
'He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025년 꼭 알아야 할 건강 트렌드 TOP 10 (0) | 2025.09.10 |
|---|---|
| 만성질환 관리의 판이 바뀐다. 텔레헬스와 AI 코치가 만드는 새로운 건강 루틴 (0) | 2025.09.09 |
| 따뜻한 체온이 면역력의 비밀: 체온 1도 올리면 달라지는 몸의 놀라운 변화 (1) | 2025.09.06 |
| 운동이 약이 되는 순간: 근육이 뿜어내는 치유 호르몬, 아이리신의 비밀 (0) | 2025.09.05 |
| 숨결 하나에 달린 건강: 교감·부교감 신경의 비밀 (0) | 2025.09.05 |